언어발달지연 증상은 무엇일까요?
2025년 1월 8일

대상자
아동

읽기 추천
보호자

언어영역
발달지연

상황
언어재활 준비 단계

난이도
기초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언어발달 지연이란 무엇인가요?
아동이 일반적인 발달 단계에서 기대되는 언어 능력을 습득하지 못하고, 언어 표현(말하기)나 언어 이해 (듣기)에서 또래보다 늦게 발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언어발달지연은 말소리, 어휘, 문법, 상호 의사소통 능력 등 언어의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언어발달 지연은 일시적으로 또래보다 늦을 수 있고,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에 정확한 평가와 개입이 중요합니다. 언어 발달 지연은 적절한 치료나 지원을 통해 또로 수준으로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언어장애와 구분됩니다.
아이 언어발달 이정표
첫 6개월: 비구어적 의사소통
- 신생아 시기: 엄마 목소리에 대한 반응, 배냇짓, 사회적 미소 등을 보입니다.
- 2-3개월: 'Cooing'(옹알이 이전의 초기 옹알이)을 시작하며 옹알이 발달의 첫 단계를 보입니다.
- 3-4개월: 'Babbling'(모국어와 비슷한 옹알이)을 통해 엄마, 아빠의 말소리를 따라 하려는 시도를 보입니다.
- 울음, 손짓, 눈 마주침, 부름에 대한 반응 등 다양한 비구어적 표현들이 나타납니다.
돌 전후: 첫 낱말 시기
- 7~12개월: 자신의 이름을 이해하고 소리를 이용하여 요구를 표현하기 시작하며, 의미 없는 소리라도 의사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 제스처(고갯짓, 안녕 등)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며 점차 소리가 단어로 발전합니다.
- 12-15개월: '엄마', '아빠'와 같은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합니다.
1세 중반 ~ 2세 전반: 낱말 조합 단계
- 50~100개 정도의 어휘를 습득하고, 단어들을 조합하여 "엄마, 물", "까까 주세요"와 같은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 말하기 시작합니다.
- 초기 자음('ㅁ, ㄴ, ㅃ, ㄲ, ㄷ, ㄱ')이 나타나고 모음과 자음을 섞어 다양한 소리와 낱말을 표현합니다.
36개월 이상: 언어폭발기
- 3~4단어 이상의 문장을 구사하며, 복잡한 문법 구조를 사용합니다. (예: “강아지가 뛰어간다”)
- “공 가져와”, “신발벗어” 와 같은 간단한 지시나 질문을 이해 합니다.
- 자신의 요구와 감정을 언어로 표현합니다. (예: “배고파”, “좋아”)
- 상상 놀이를 하며 다양한 언어를 사용합니다. (예: 인형을 가지고 “밥 먹자”, “자자” 등 간단한 역할 놀이)
언어발달 지연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언어 정밀 평가 전 영유아 검진을 통해서 언어 능력 발달을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영유아 검진 상 언어 발달 ‘심화 권고’가 나왔다면 언어 정밀 평가를 받는 것을 추천 합니다.
영유아 검진
- 18~19개월: 수용 언어(이해능력) 평가에 집중합니다.
- 24개월: 표현 언어(표현 능력) 평가에 집중합니다.
24개월 검진에서 언어 ‘심화 권고’를 받을 경우, 언어 평가를 통해 표현 언어 발달 수준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 다른 친구들에 비해 발달 속도는 느리지만, 앞서 언급된 언어발달 흐름을 잘 따라가고 있는 경우 두 돌까지 기다려볼 수 있습니다.
24개월에 언어평가를 꼭 받아야 하는 경우
- 일관성 있는 말소리로 의사 표현을 하지 못하는 경우
- 일상적인 지시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없는 경우
- 새로운 낱말을 따라 하려는 시도가 없는 경우
- 질문에 반응이 없는 경우
- 제스처나 낱말을 사용한 의사 표현을 하지 못하는 경우
36개월 이전이라도 언어치료를 적극 검토해야 하는 경우
- 아이의 말을 타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 3-4개의 낱말을 연결하여 말하지 못하는 경우
- 두 단계 지시를 따르지 못하는 경우 (예: 옷 벗고 손 씻어)
- '어디'라는 질문에 답하지 못하는 경우
- 선택 질문에 답하지 못하는 경우 (예: 우유 먹을래? 밥 먹을래?)
- 위치 부사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예: 식탁 위에 올려놔)
- 말의 내용이 상황이나 주제와 관련 없는 경우
- 50개 이상의 낱말을 말하지 못하는 경우
언어발전소에서 제안하는 팁 5가지
✅ 아이의 행동과 말에 주의를 기울여 집중해주세요.
아이가 갖고 노는 장난감에 성인도 함께 집중하며 놀이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이나 발성에 의사소통적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 의도를 알아차리기 위해 관심을 기울여 보세요.
아이가 갖고 노는 장난감에 성인도 함께 집중하며 놀이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이나 발성에 의사소통적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 의도를 알아차리기 위해 관심을 기울여 보세요.
✅ 아이의 표현에 적극적으로 반응해주세요.
아이의 옹알이, 울음, 불분명한 말소리라도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신호입니다. "배고프구나"와 같이 말을 들려주거나 눈 마주치며 함께 웃고 반응해주세요.
아이의 옹알이, 울음, 불분명한 말소리라도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신호입니다. "배고프구나"와 같이 말을 들려주거나 눈 마주치며 함께 웃고 반응해주세요.
✅ 아이의 시선을 따라 아이가 보고, 듣는 것을 언어로 다시 들려 주세요.
아이가 빨간 자동차를 갖고 놀고 있다면 "빨간 자동차네, 자동차가 붕붕 달려" 와 같이 아이가 경험하고 있는 환경을 말소리로 다시 들려주세요.
아이가 빨간 자동차를 갖고 놀고 있다면 "빨간 자동차네, 자동차가 붕붕 달려" 와 같이 아이가 경험하고 있는 환경을 말소리로 다시 들려주세요.
✅ 아이가 단어를 말하면, 의미를 덧붙여 확장된 문장으로 만들어 주세요.
아이가 "멍멍이" 라고 한다면 "멍멍이가 뛰어와요", "멍멍이 코 자"와 같이 들려주세요.
아이가 "멍멍이" 라고 한다면 "멍멍이가 뛰어와요", "멍멍이 코 자"와 같이 들려주세요.
✅ 아이의 실수를 지적하기 보단 올바른 문장으로 들려주세요.
아이가 하는 말실수나 문법 오류를 지적하고 정정해주기 보다는 올바른 문장으로 다시 들려주세요. 예를 들어, "강아지를 먹어" 라고 한다면, "강아지가 밥을 먹어" 라고 들려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하는 말실수나 문법 오류를 지적하고 정정해주기 보다는 올바른 문장으로 다시 들려주세요. 예를 들어, "강아지를 먹어" 라고 한다면, "강아지가 밥을 먹어" 라고 들려줄 수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아동
구개열 아동의 언어치료는?
아동
말 더듬는 우리 아이 고칠수 있을까요?
아동
느린학습자 증상과 특징, 치료할수 있을까?
아동
단순 언어지연일까, 자폐스펙트럼일까?
아동
아이 사회성 부족, 증상과 치료방법은
아동
아이 발음이 이상한가요?
아동
혹시 우리 아이 언어장애일까요?
아동
언어발달지연 증상은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