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화상 언어재활의 대상
신경언어장애
Acquired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뇌졸중이나 뇌종양, 퇴행성 뇌질환(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사고 등의 이유로 뇌손상이 발생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말·언어문제가 일시적으로 나타나거나 점진적으로 퇴행할 수 있습니다. 단어·문장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의사표현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실어증, 발음이 어눌하거나 자신의 생각대로 말소리가 산출되지 않는 마비말장애와 말실행증, 인지기능의 저하로 의사전달이 어려운 인지- 의사소통 장애까지 다양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실어증 (Aphasia)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를 이해·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후천적인 의사소통 장애입니다. 지적·발달장애로 인한 언어장애와는 구별되며 뇌손상 전에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했던 경우입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 한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제한을 보이며,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의사표현이 힘든 경우, 글자를 읽거나 받아쓰기, 글로 표현할 때 문제를 보일 수 있습니다.
마비말장애 (Dysarthria)
말소리 산출에 관여하는 뇌신경 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구음장애입니다. 얼굴, 입술, 혀, 연구개 등 구강 근육의 마비 또는 약화로 인해 구어 운동성 및 협응이 제한되어 호흡이 짧아지고, 쉬거나 쥐어짜는 듯한 목소리 산출, 콧소리, 어눌한 발음, 불규칙적이거나 느려지는 말속도 등 말이 명료하지 않은 증상을 보입니다.
말실행증 (Apraxia of speech)
후천적인 뇌손상으로 인해 구강근육의 마비나 약화가 없음에도 말소리(음소나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머릿속으로 단어를 알고 있지만 자신의 의지대로 자동화 된 말 산출의 순서가 계획/프로그래밍 되지 않아 말을 유창하게 구사하기 어려운 증상으로 이는 실어증과 마비말장애를 함께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인지-의사소통 장애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생각하고, 말하고자 하는 요지와 의도를 유지하며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뇌졸중이나 사고, 퇴행성 질환(예: 치매)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지-의사소통 장애는 기억력이나 지각, 문제해결, 추론 및 사고, 비유적 표현의 이해, 언어 기능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입니다.
* 그 외 성인 의사소통 장애(말소리 장애, 말더듬 등) 혹은 해외 거주 아동/학령기/청소년 화상 언어재활 상담은 별도 문의 주십시오.
(070-7525-5575)
언어재활 시스템
언어검사
Speech and Language Assessment
청각적 이해력, 표현력, 읽기, 쓰기, 인지 기능 등 전반적인 의사소통 영역을 살펴보는 인지/언어검사와 호흡, 발성, 발음, 공명, 운율, 말 명료도를 살펴보는 말소리(Speech) 검사를 실시합니다.

검사는 온라인 예약을 통해 진행되며, 표준화된 공식 검사와 언어발전소에서 자체 개발한 검사를 통해 대상자의 의사소통 수준을 측정합니다.
인지검사
  •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2판(K-MMSE-2)
  • 인지-의사소통장애 간편검사(BCCD)
  •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WAIS-IV)
언어검사
  • 파라다이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개정판(PK-WAB-R)
  •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
  • 실어증-신경언어장애 선별검사(STAND)
  • 학령기 아동 언어 검사(LSSC)
  •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KOSECT)
  • 한국어 읽기검사(KOLRA)
  • 읽기 성취 및 읽기 인지처리능력 검사(RA-RCP)
  • 쓰기 성취 및 쓰기 인지처리능력 검사(WA-WCP)
  • 한국 아동 메타-화용언어 검사(KOPLAC)
  • 한국어 이야기 평가(KONA)
말 검사
  • 조음기관 구조.기능 선별검사(SMST)
  •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 II(P-FA-II)
  • 한국어 표준 그림 조음음운 검사(KS-PAPT)
  • 우리말조음음운검사(U-TAP)
언어재활 이용절차
Language rehabilitation procedures
1단계
초기상담
대상자, 보호자, 재활사가 함께
상담과정에 참여하여 다각적으로 언어상태를 확인합니다.
2단계
진단 및 재활 방향성 수립
필요할 경우 공식 언어검사를 통해 언어 상태를 진단하며,
효과적인 재활 방향성을 잡습니다.
3단계
언어재활사 추천
대상자에게 적합한 재활 스타일을 파악하고
시간과 요일을 고려해 최대 3명의 재활사를 추천합니다.
4단계
화상 언어재활
컴퓨터나 태블릿을 준비해 줌 회의실에 접속합니다.
맞춤형 수업자료를 활용해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습니다.
5단계
복습과 피드백
매회 수업 종료 후 수행도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목표치를 재설정합니다.
수업 녹화 영상을 공유하여 일상에서도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6단계
중간평가 보고서 발행
약 40회의 수업 후 중간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재활의 진전 상황과 재설정 된 중장기 목표가 담긴 중간평가 보고서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 언어검사패키지 (유료) 선택 가능
화상 언어재활의 효과성
미국, 호주, 유럽 등 해외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화상 언어재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뇌손상, 퇴행성 신경계 질환의 후유증으로 언어장애를 겪는 성인 대상 연구에서 화상 언어검사와 재활이 전통적인 대면 치료와 비교하여
효과성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특정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진전을 보이기도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관련연구
언어검사 신뢰성
결과
30명의 실어증 환자 대상으로 화상/대면 언어검사 결과 비교 결과, 두 그룹의 언어검사 결과는 거의 비슷한(moderate mostly perfect) 수준의 신뢰도를 보임. 30명의 실어증 환자 대상으로 화상/대면 언어검사 결과 비교 결과, 두 그룹의 언어검사 결과는 거의 비슷한 (moderate mostly perfect) 수준의 신뢰도를 보임.
관련연구
치료 효과성
결과
노르웨이 실어증 환자 56명 대상, 주 5일 1개월간 화상/대면 언어재활 실시 결과, 두 그룹간 이름대기와 청각적 이해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따라말하기, 동사/문장 표현 검사 수행은 화상 언어재활 그룹이 대면 치료 그룹보다 더 높은 수행력을 보임.
관련연구
대상자 만족도
결과
뇌손상 성인 40명 대상, 이야기 다시말하기(story retelling)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 결과를 비교 결과, 화상 언어재활은 대면 치료와 유사한 효과를 보이며, 화상 언어재활시 대상자가 더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드러남.
관련연구
그룹치료 효과성
결과
만성기 실어증 환자 대상, 하루 3시간씩 주5일 그룹치료(iCILT) 실시 결과, 화상 언어재활을 실시한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이름대기 수행에 진전을 보임.
(Source: Y. E. Guo et al. (2017) Assessment of Aphasia Across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Using an iPad- Based Application; H. P. Ora et al. (2020) The effect of augmented speech-language therapy delivered by telerehabilitation on poststroke aphasia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 Georgeadis et al. (2010) Telerehabilitation and its effect on story retelling by adults with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R. Pitt. et al. (2017) The feasibility of delivering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via the Internet)
와 함께하세요.
재활 선택권을 넓히는
화상 언어재활
통원치료에 제약이 있는 분, 운동능력은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언어/인지 문제가 있는 분, 한국인 언어재활사를 만나기 어려운 해외교민에게는 화상 언어재활이 더욱 적합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언어재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quality)의 치료와 강도 높은(intensity) 치료가 결정적입니다.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더 자주 언어재활 받으세요.
0
상담신청
이용안내
더나은언어
공지사항